반응형

개인 프로젝트 3

#002-03 [Spring Boot] 뷰 템플릿 선정 및 적용하기

내가 뷰 템플릿을 쓰는 이유는 단 하나의 이유, "layout 나누기" 이다.  서버 호출은 ajax로 할 것이기 때문에Tiles와 sitemesh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하기로 했다. 그리고 둘 중에서 shtemesh를 사용해봤지만Tiles의 사용이 압도적이라 하여 Tiles를 사용하기로 했다.구체적인 장단점 비교 >> https://deoki.tistory.com/66 Tiles를 프로젝트에 적용하려는데 의존성 주입이 안 되어 검색해 보니스프링부트 3.0 이상에서 지원하지 않는다고 한다.그래서 다른 템플릿을 찾아보기로 했다. 일단 프리마커와 타임리프는 사용하고 싶지 않았는데, (필요하지 않은 과도한 기능이 많아서)비슷한 니즈의 블로그 글을 보고 "머스테치(mustache)"를 사용해 보기로 결정했다.또한..

개인 프로젝트 2025.02.07

#002-02 [Spring Boot] 부트스트랩 적용하기, 무료 템플릿

무료 템플릿을 제공하는 사이트를 찾아서화면 UI를 적용하기로 했다.  https://startbootstrap.com/templates      위 사이트에 접속하여 원하는 템플릿 선택 후Free Download를 진행한다.       다운로드 받은 압축파일을 풀어서 resource/static 하위에 복사해 준다.      http://127.0.0.1:8080/index.html이런 식으로 파일명으로 접근이 가능하다.    여기서 눌러보고 원하는 화면을 채택해서메뉴를 구성해야겠다.

개인 프로젝트 2025.02.07

#002-01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 및 GitHub 프로젝트 업로드 (Sourcetree 사용)

개발 환경언어: JAVADB: MySQL IDE: Spring Tool Suite 4  어디서든 코딩 가능하도록 git 연결하는 것을 우선 작업하기로 했다. 1. 깡통 프로젝트를 만든다. 1) File > New > Spring Starter Project 2) 설정 입력 후 Next 3) Dependency 선택 후 Next(이런저런 것을 선택하니 주석 달기가 번거로워 일단 기본만 선택했다.)4) Finish  5) 생성된 프로젝트 6) build.gradle 추가 작성 dependencies에 spring web 부분만 기본 생성된 것이고그 아래에 MySQL, MyBatis, Lombok을 추가했다.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개인 프로젝트 2024.08.14
반응형